신용카드 무직자 발급 후기 및 방법(20대 취업준비생 주목)

신용카드 무직자 발급 후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얼마전 신한카드 Deep Dream 신용카드를 발급받았는데요. 직업이 없어서 발급이 안될줄 알았는데 별다른 심사없이 카드를 만들게 되어서 과정 및 후기를 작성해보려합니다.


신용카드 무직자 발급 전반적인 후기

신한카드-딥드림

아래에 자세히 적어두었지만 신한은행에 작년부터 적금을 들었던게 있어서 신한카드로 발급을 결정했습니다.

첫 신용카드였기 때문에 토스나 네이버 앱에서 보고 캐시백 많이 주는 카드 중에서 제 상황에 제일 적합한(전월실적, 할인형, 적립형 등을 고려하여) 카드를 선택했고, Deep Dream으로 발급받았습니다.

다른 글들을 보니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된다고 하는데요. 저의 경우는 발급 신청을 오후 3시에 했는데 오후 5시에 들어가보니 카드제작중이라고 떠서 따로 서류 제출없이 쉽게 발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신기했던 점은 카드 발급만 받았는데도 신용점수가 올라갔다는 것입니다. 요즘 신용점수 관련 글을 쓰다보니 조금씩 관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신용카드를 발급받았던 것이긴 했는데 발급하는 것만으로도 점수가 상승해 놀랐습니다.

무직 백수에게 신용카드 발급을 해주는데 신용점수까지 올라가니 참 신기하더라구요. 신용카드 한도의 20~30%를 사용하고, 체크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올라간다고 해서 그렇게 사용해볼 생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살펴보시죠.


카드 발급 전 신용점수

여러 글들을 읽어보니 카드 발급을 위해서 일정 부분 이상의 신용점수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어떤 글에서는 650점만 넘으면 된다고 하고, 어떤 글은 NICE 744점, 올크레딧 700점 이상이어야 한다고 그러더라구요.

며칠 전에 카드를 발급받기 전 저의 신용점수는 KCB 750점, NICE 786점이었습니다.

  • 신용카드 첫 발급(체크카드만 이용, 연체 내역 없음)
  • 대출 받은 적 없음
  • 토스 신용점수 올리기로 NICE 점수는 조금 상승시켜둔 상태

여러 블로그 글들을 읽어보니 신용점수 750점이라는 수치가 이제 막 성인이 된 분들이 많이 나오는 점수라고 하더라구요.

따로 신용점수가 오를만한/내려갈만한 행동을 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20대 대학생 또는 취업준비생의 평균치 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의 신용점수 알아보기


신용카드 무직자 발급 조건

직장을 다니고 있거나 개인사업자라면 4대보험에 가입했다는 증명서 또는 사업자등록증을 통해 신용카드를 쉽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무직인 경우는 위와 같은 서류를 준비할 수 없기 때문에 카드 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은행 측에 증명을 해야합니다.

  • 입출금계좌에 최근 일정 개월의 평잔(평균잔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 경우
  • 최근 일정 개월 이상 월 일정 금액 이상을 예/적금에 납입중인 경우
  • 부동산을 소유하여 재산세를 납부하는 분
  • 세대주로 지역의료보험을 납부하는 분
  • 보증금 5000만원 이상의 전세계약서 + 등본 서류 준비가 가능한 분
  • 기준 년도 이내의 자동차를 보유한 분
  • 각종 연금을 월에 기준 금액 이상 수령중인 분
  • 개인보험 계약자이며 월에 일정 금액 이상 납부하는 분
  • 증권 계좌에 일정 금액 이상이 있고, 일정 개월 이상 유지
  • 배우자가 위의 자격조건 중 해당하는게 있는 분

⚠️ “일정 금액 이상”, “일정 개월” 등 [일정]이 붙은 것은 카드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자격조건과 관련된 서류를 한 가지 제출하여 카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제 막 20대가 되었거나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분들이 아파트 또는 차가 있거나 연금을 받는다거나 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텐데요.

저 역시도 동일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칠해둔 [평잔(평균잔액)]을 통해 발급을 받았습니다. 다른 재산이 없는 무직자라면 제일 쉽게 카드 발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평잔(평균잔액)이란?

신용카드를 만들려고 하는 사람의 계좌에 있는 평균 잔액을 의미합니다. 해당하는 월의 1일부터 말일까지 통장에 들어있는 돈의 평균 값을 말합니다.

카드사마다 유지해야 하는 평균 잔액과 기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거래 은행이 있다면 그 은행의 신용카드를 먼저 시도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카드사별 평잔

저 같은 경우 작년인가 재작년에 한창 청년희망적금 이야기가 나왔을 때 신한은행에서 첫 적금을 들었었는데요.

여러 글들을 참고해보니 신한은행 평잔 조건이 월 80만원 이상, 3개월 유지였고, 조건에 부합했기 때문에 바로 카드를 신청했습니다.

입출금 계좌의 평잔인지 예/적금의 평잔인지 헷갈렸는데 적금으로도 발급이 되는 것을 보니 상관없이 평균 잔액과 기간만 따지는 것 같습니다.

카드사평잔(평균잔액)기간
국민카드50만원 이상6개월
농협카드600만원 유지6개월
이상
롯데카드100만원 이상 유지3개월
삼성카드50만원 이상 유지6개월
시티카드600만원 유지6개월
신한카드80만원 이상 유지3개월
우리카드80만원 이상 유지
or 1일 500만원 이상
6개월
하나카드30만원 이상 유지
or 1개월 90만원 이상
3개월
현대카드50만원 유지6개월

위의 평잔 표는 타 블로그 + 카페 글들 참고해서 작성을 했는데 시기마다, 상담해주는 상담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 듯 합니다.(어떤 분은 1천만원 입금 시 바로 가능하다는 말도 있더라구요.)

제일 좋은 방법은 카드사에 전화해서 물어보는게 확실하고, 특정 카드사의 카드 발급을 희망한다면 미리 평잔 준비를 해두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신한카드 카드발급상황조회 방법

신청처리현황

신한카드에서 카드 신청을 했는데 따로 서류 요청은 없고, 신청 당일에 카드제작중이라고 떠 있어서 제대로 승인이 된건지 잘 몰랐는데요.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본인인증을 하고나니 현재 본인이 신청한 카드의 처리 현황을 보여주어서 좋았습니다.

신한카드 카드발급상황조회 바로가기

신용카드 발급 후 신용점수

신용카드-무직자-발급-후-신용점수

신용카드 발급 전 저의 신용점수는 KCB 750점, NICE 786점이었습니다. 단순히 카드를 발급받은 것만으로도 각각 47점, 44점이 상승했습니다.


Q & A

이번에 카드를 처음 발급 받으면서 제가 궁금했던 내용을 문의해보고, 답을 얻은 내용입니다. 비슷한 궁금증이 생겼다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토스에서 발급받은 카드 브랜드가 Union Pay인데 VISA로 변경은 불가능한가요?

A. Deep Dream 기준 토스에서 신청 시 카드 브랜드가 Union Pay로 고정이 되어있습니다. 상담사 분께 전화해본 결과 캐시백을 받고, VISA로 재발급 신청을 진행하면 된다고 합니다.

Q. 신한카드에 연결한 신한은행 입출금 계좌가 한도제한계좌1이에요. 카드 결제대금이 많은 경우 어떻게 하나요?

A. 신한은행 입출금계좌가 한도제한계좌여도 입금 및 카드 결제대금 출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즉, 30만원 한도 제한이 걸려있어도 신한은행 입출금 계좌로 한 번에 50만원도 입금이 가능하며, 카드 결제대금 30만원 이상이어도 무관하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신용카드 무직자 발급 후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용카드는 체크카드에 비해 다양한 혜택이 있는데요. 무직자여도 위 내용 참고하셔서 카드 발급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